전체 글(113)
-
3. DBMS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란? ( DataBase Management System)
DBMS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atabase Management System)의 약자입니다. 이 시스템은 데이터의 정의, 생성, 쿼리, 업데이트, 관리 등을 할 수 있는 프트웨어입니다. DBMS는 사용자와 데이터베이스 사이에서 작동하여 사용자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DBMS는 데이터의 무결성, 일관성, 보안, 경제성,복구 기능을 제공하며,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합니다. DBMS의 필수 기능 1. 정의(Data Definition) :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정의하고 수정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테이블, 인덱스, 뷰 등의 데이터 베이스 객체를 생성, 수정,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데이터 조작(Data Mani..
2023.04.03 -
데이터베이스 0장 예제
SQL CREATE 아래 속성을 가진 Book 테이블을 생성하세요 bookid(도서번호) - INTEGER bookname(도서이름) - CHAR(20) publisher(출판사) - CHAR(16) price(가격) - INTEGER CREATE TABLE Book( bookid INTEGER, bookname CHAR(20), publisher CHAR(16), price INTEGER); SQL SELECT 도서이름에 '축구'가 포함된 도서이름과 출판사를 구하시오. SELECT bookname, publisher FROM Book WHERE bookname LIKE '%축구%'; SQL SELECT 고객별로 주문한 도서의 총 수량과 총 판매액을 구하시오. SELECT custid, COUNT(*) ..
2023.04.03 -
2. SQL의 DDL, DML, DCL 정의, 주요 명령어 예제로 알아보기
데이터 정의어 DDL(Data Definition Language) 데이터 스키마를 정의하고 조작하는 데 사용되는 SQL의 하위 언어 중 하나입니다. DDL은 데이터베이스 객체를 생성, 수정, 삭제하고, 객체에 대한 권한을 관리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합니다. DDL의 주용 명령어 1. CREAT : 데이터베이스 객체를 생성 CREATE TABLE students ( id INT PRIMARY KEY, name VARCHAR(50) NOT NULL, major VARCHAR(50) NOT NULL, gpa FLOAT ); 위 코드는 "students"라는 테이블을 생성하는 명령어입니다. "id", "name", "major", "gpa"는 테이블의 열(column)이며, 각각 정수형, 문자열, 문자열, 부동..
2023.04.01 -
1. SQL(Stuctured Query Language) , Query
SQL (Stuctured Query Language) 란? SQL에서 Query가 궁금할 수 있다. 그래서 Query에 대한 개념을 먼저 잡고 가겠다. Query란? Query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정보를 검색하거나, 조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문장을 의미합니다. 즉, query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정보를 가져오기 위한 요청이나 명령어입니다. Query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에 전달되며, DBMS는 이러한 query를 분석하고 처리하여 결과를 반환합니다. query는 보통 SQL로 작성되며, SQL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Query언어입니다. Query를 작성할 때는 원하는 정보를 무엇인지 명확히 정의하고, 해당 정보를 어떻게 가져올지 결정해야한다. 이걸 우리는 앞으로 배..
2023.04.01 -
[백준] 1977 python 완전제곱수 3가지 방법
1. 반복문 for 사용 m=int(input()) n=int(input()) sum = 0 for i in range(1, int(n**0.5)+1): if i**2 >= m and i**2 = m and i**2 = m and i**2 = m and x
2023.01.25 -
[백준] 10988 python 팰린드롬인지 확인하기 (3가지 방법)
1. 문자열 슬라이싱(slicing)을 이용하는 방법 s = input() if s == s[::-1]: print(1) else: print(0) 2. 반복문(for/while)을 이용하는 방법 s = input() n = len(s) flag = 1 for i in range(n//2): if s[i] != s[n-i-1]: flag = 0 break print(flag) 3. 내장함수 reversed 사용 s = input() if list(s) == list(reversed(s)): print(1) else: print(0) https://www.acmicpc.net/problem/10988 10988번: 팰린드롬인지 확인하기 첫째 줄에 단어가 주어진다. 단어의 길이는 1보다 크거나 같고, 100..
2023.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