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SQL
SQL(Structed Query Language)
SQL에는 데이터 정의어(DDL)
:데이터 정의어(DDL): 데이터베이스의 스키마를 정의하고 수정하기 위한 명령어입니다. 테이블, 뷰, 인덱스, 프로시저, 함수 등을 생성, 수정, 삭제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조작어(DML)
:데이터 조작어(DML):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자료를 조회하거나, 삽입, 수정, 삭제하기 위한 명령어입니다. SELECT, INSERT, UPDATE, DELETE 등이 있습니다.

데이터 제어어(DCL)
데이터 제어어(DCL):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때 필요한 권한을 부여하거나, 취소하기 위한 명령어입니다. GRANT, REVOKE 등이 있습니다.

앞으로의 설명보다 아래의 링크에들어가서 2시간동안 공부하면 더 도움이될거같다.
https://my-learning.w3schools.com/
My learning | W3Schools
my-learning.w3schools.com
SELECT cno, AVG(Final) AS 기말평균
FROM ENROL
GROUP BY Cno;
위의 SQL 문은 ENROL 테이블에서 cno와 Final 컬럼을 사용하여, cno별로 기말시험의 평균을 구하는 집계 쿼리입니다.
SELECT 절에서는 cno와 AVG(Final) AS 기말평균를 선택했습니다. 이는 각각 ENROL 테이블의 cno 컬럼과 Final 컬럼을 나타내며, AVG 함수를 사용하여 기말시험 점수의 평균을 구하고, 결과 컬럼의 이름을 "기말평균"으로 변경하였습니다.
FROM 절에서는 데이터를 가져올 테이블을 지정합니다. 이 경우, ENROL 테이블을 사용합니다.
GROUP BY 절에서는 cno 컬럼을 기준으로 그룹화하여 집계합니다. 이렇게 그룹화된 데이터에 대해서는 AVG 함수를 적용합니다.
따라서, 위의 쿼리를 실행하면 ENROL 테이블에서 cno별 기말시험 평균을 구한 결과를 출력합니다.
SELECT cno, AVG(Final) AS 기말평균
FROM ENROL
GROUP BY Cno
HAVING COUNT(*) >=3;
위의 SQL 쿼리는 "ENROL" 테이블에서 "Cno"(강의번호)와 "Final"(기말고사 점수) 열을 선택하고, "Cno"별로 기말고사 평균을 계산하여 "기말평균"이라는 열 이름으로 출력하는 쿼리입니다. 그러나, HAVING 구문을 사용하여 결과를 제한합니다. COUNT() 함수는 각 그룹에 속하는 레코드 수를 계산합니다. HAVING 절에서 COUNT() >= 3를 지정하여, 레코드 수가 3 이상인 그룹만을 출력합니다. 따라서, 강의를 수강한 학생 수가 3명 이상인 강의의 "Cno"와 해당 강의의 기말고사 평균이 출력됩니다.
VIEW

















